반응형
1. 설치
https://docs.mongodb.com/manual/tutorial/install-mongodb-on-ubuntu/
설치시 위 링크 참조
Install MongoDB Community Edition on Ubuntu — MongoDB Manual
docs.mongodb.com
wget -qO - https://www.mongodb.org/static/pgp/server-4.2.asc | sudo apt-key add -
sudo apt-get install gnupg
wget -qO - https://www.mongodb.org/static/pgp/server-4.2.asc | sudo apt-key add -
echo "deb [ arch=amd64 ] https://repo.mongodb.org/apt/ubuntu bionic/mongodb-org/4.2 multiverse" | sudo tee /etc/apt/sources.list.d/mongodb-org-4.2.list
sudo apt-get update
sudo apt-get install -y mongodb-org
sudo systemctl enable mongod
sudo service mongod start
sudo service mongod status
sudo systemctl enable mongod
service 등록
mkdir -p /data/db
sudo chown -R $USER /data/db
sudo chmod -R go+w /data/db
2. config
sudo vim /etc/mongod.conf
net:
port: 27017
bindIp: 0.0.0.0 // 모든 ip 접속
security:
authorization: enabled // 접속시 계정 필요
3. 관리자 계정 설정
http://blog.freezner.com/archives/1040
[MongoDB] 관리자 계정 추가/삭제하기
처음 MongoDB를 설치하게되면 기본 계정은 존재하지 않고 생성해야 합니다. 또한 한 계정으로 여러 데이터베이스의 권한을 가질 수 없으며 1사용자 1데이터베이스 원칙이 기존 MySQL, MS-SQL, Oracle과 다른 점입니다. 로컬에서는 계정 정보 없이 mongo 명령만으로 접근이 가능한데 외부에서 접속인증을 통한 원격 접근을 위해서는 계정을 생…
blog.freezner.com
use admin
db.createUser( { user: "<username>",
pwd: "<password>",
roles: [ "userAdminAnyDatabase",
"dbAdminAnyDatabase",
"readWriteAnyDatabase"
] } )
db.createUser({user:"test",pwd:"1234",roles:["userAdminAnyDatabase","dbAdminAnyDatabase","readWriteAnyDatabase"]})
4. collection 계정 설정
db.createUser({user:"test",pwd:"1234",roles:["readWrite"]})
반응형
'나만의 우분투 설정을 만들자!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클립보드를 사용하자! (0) | 2020.02.09 |
---|---|
Docker - 도커로 Postgresql 구축하기! (0) | 2020.02.03 |
mysql - 초기 설정!!! (0) | 2020.01.31 |
우분투 너로 정했다! (사실은 ... 맥북이 사고 싶었다) (0) | 2020.01.19 |
윈도우 한영키를 Shift + Space 로 바꾸자! (0) | 2020.01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