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전체 글 172

OS 메모리 관리

Paging 기법 논리적 주소 (Logical address) 물리적 주소 (Physical address) 주소 바인딩 (Address binding) page table frame 문제점 메모리 단편화 (Memory fragmentation) - 내부 단편화 (발생) - 외부 단편화 (미발생) Segmentation 기법 code, data, heap, stack 단위 segment 정의 segment table 문제점 메모리 단편화 (Memory fragmentation) - 내부 단편화 (미발생) - 외부 단편화 (발생) Paging Segmentation page 일정한 크기의 단위로 나누어 할당 segmentation code, data, heap, stack 등 기능(의미) 단위로 물리 메모..

개발 2023.06.15

Generics / Variance

Generics 메서드, 컬렉션, 클래스에 컴파일 시의 타입체크(compile-time type check)를 해주는 기능 - 객체의 타입을 컴파일 시에 체크하기 때문에 객체의 타입 안정성을 높이고 형변환의 번거로움이 줄어든다 - 컴파일러는 지네릭 타입을 이용해 소스파일을 체크하고 필요한 곳에 형변환을 넣어준다. 그리고 지네릭 타입을 제거한다 - JDK.15부터 지네릭이 도입되어 하위 호환성을 위해 타입 제거 제한 1. Static 멤버에 타입 변수(ex. T)를 사용할 수 없다 - 모든 객체에 대해 동일하게 동작해야하는 static 멤버에 타입변수 사용 불가 - 타입변수는 인스턴스변수로 간주 public class Box { static T item; static int compare(T t1, T t..

개발 2023.06.04

CAP PACELC

http://eincs.com/2013/07/misleading-and-truth-of-cap-theorem/ CAP Theorem, 오해와 진실 CAP Theorem은 분산시스템에서 일관성(Consistency), 가용성(Availability), 분할 용인(Partition tolerance)이라는 세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할 수 없다는 정리로, 세 가지 중 두 가지를 택하라는 것으로 많이 알 eincs.com http://happinessoncode.com/2017/07/29/cap-theorem-and-pacelc-theorem/ CAP 이론과 PACELC 이론을 알아보자 이번에 CAP 이론을 공부하면서 가장 많이 참고한 자료는 CAP Theorem: You don’t need CP, you do..

카테고리 없음 2023.06.04

K8S - On prem Install

- 노드별 핑 테스트 ping 192.168.0.1 ping 192.168.0.2 - 스왑 OFF sudo swapoff -a # 현재 시스템에 적용(리부팅하면 재설정 필요) sudo sed -i '/ swap / s/^\(.*\)$/#\1/g' /etc/fstab # 리부팅 필수 - 컨테이너 런타임 CRI https://www.itzgeek.com/how-tos/linux/ubuntu-how-tos/install-containerd-on-ubuntu-22-04.html # Using Docker Repository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-y ca-certificates curl gnupg lsb-release curl -fsSL https://download.doc..

Kubernetes 2023.03.17
반응형